노동과 임금

Displaying 1 - 10 of 11

여성 스포츠 팀이 요구하는 “동등한 보수”는 소비자가 결정한다

노동과 임금

Blog07/11/2019

팬들이 여자선수들도 남자선수들만큼의 보수를 받기를 원한다면, 소비자들이 여자선수들의 경기에 더 많이 지출해야 한다.

한글 미제스와이어 전체보기

노동조합은 어떻게 사용자와 비조합원의 권리를 침해하는가

노동과 임금

Blog07/09/2019

연방노동법은 노동자의 권리라는 명분으로 독점력을 강화하고 경쟁을 약화시키며 자유로운 결사를 방해한다.

한글 미제스와이어 전체보기

정치적 올바름과 경제의 관료화

관료제와노동과 임금

Blog04/30/2019

일터에서 정치적 순응을 요구하는 이윤 지향 기업 조직들은 정부 기관들을 흉내내고 있는데, 우리는 이에 관한 지침서로서 미제스의 책 ≪관료제≫를 참조해야 한다.

한글 미제스와이어 전체보기

“저출산 위기”는 정부가 초래한 문제다

노동과 임금세계역사

Blog03/15/2019
시장경제에서 인구 감소는 경제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정부의 연금제도를 통해 젊은 노동자들의 부와 소득이 퇴직자들에게 이전된다면, 인구감소는 정말로 실질적인 경제문제를 야기한다.
한글 미제스와이어 전체보기

최저임금제는 당신들이 생각하는 만큼 작동하지 않는다

노동과 임금법률 체계

Blog07/28/2018

우리는 근로자들이 “생계임금(living wage)”을 받을만한 지를 묻지 말고, 최저임금이 근로자가 생계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실제 돕고 있는지를 물어야 한다.

한글 미제스와이어 전체보기

이 여덟 글자가 대공황을 불러왔다

경기호황과 파열노동과 임금경기변동

Blog07/09/2018

미국 역사상 경제적으로 가장 처참했던 재앙이 어떤 한 정당의 정강에 있는 여덟 글자로 설명될 수 있을까? 그렇다. 여기에 그 여덟 글자가 있다. 1932년 공화당 정강에 금주(禁酒)에 관한 애매한 강령 바로 뒤의 제2조에 있는 단어들이 그것이다. 즉 “우리는 높은 임금이 (경제를 살린다고) 믿는다(We believe in the principle of high wages).”

한글 미제스와이어 전체보기

고용을 파괴하는 것은 로봇이 아니라 정치인이다

기업가노동과 임금

Blog06/29/2018

인공지능과 로봇이 고용을 해치는 것이 아니다. 로봇화가 많이 진전된 나라일수록 실업률은 낮다.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은 인공지능과 로봇이 아니라 인간의 어리석음이다.

한글 미제스와이어 전체보기

4,000년에 걸친 가격 통제

노동과 임금법률 체계세계역사

Blog04/12/2018
가격통제는 오늘의 문제만이 아니다. 그것은 4,000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문명의 진정한 발견은 자유시장이다. 애덤 스미스야말로 시장경제의 경이로움을 그 누구보다 명백하게 깨달은 사람이다.
한글 미제스와이어 전체보기

자유와 최저임금

노동과 임금가치와 교환

Blog02/13/2018

정부가 최저임금을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정치적 온정주의자들은 20세기 사회주의의 중앙계획자들과 아주 많이 닮아 있다. 그들은 45년 전 하이에크(F. A. Hayek)가 그의 노벨상 강연에서 비판한 “지식이 있는 체 하기” 증세를 다 겪고 있다.

한글 미제스와이어 전체보기

인구감소는 대재앙인가?

노동과 임금세금과 정부지출세계역사

Blog10/03/2017
1970년대 우리는 인구증가의 공포에 떨었는데, 이제 우리는 인구감소를 크게 걱정하고 있다. 그런데 인구감소는 정말 문제일까?
한글 미제스와이어 전체보기